길걷다호기심

[도서관] 자동 도서 대출·반납 기계 - RFID 태그 이용한 도서관리시스템

치즈03 2025. 2. 27. 21:46

서울도서관, 이화여대 중앙도서관 무인반납기 사진

 

요즘 도서관에서는 사람과 대면하지 않고도 손쉽게 책을 빌리고 반납할 수 있는 자동 도서 대출·반납 기계(Self Check Kiosk)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계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인식해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책을 대출 또는 반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계의 작동 원리와 핵심 기술을 살펴보겠습니다.

 

 📌 RFID 자동 도서 대출·반납 기계의 원리

사용자가 책을 기계에 올려놓고 회원증(보통 RFID 카드 또는 바코드 카드)을 스캔한 후, 화면에서 대출 또는 반납 버튼을 누르면 작업이 완료됩니다. 어떻게 가능한걸까요? 자동 도서 대출·반납 기계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도서를 감지하여 도서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대출 또는 반납 절차를 진행합니다.

 

📌 책을 겹겹이 쌓아도 여러 권이 동시에 인식되는 이유

일반적인 바코드 시스템은 한 번에 한 권씩 책을 스캔해야 하지만, RFID 기술은 여러 개의 태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의 무선 주파수 통신 방식 덕분입니다.

  • 다중 태그 인식(Anti-Collision) 기술: RFID 리더기는 여러 개의 태그가 동시에 신호를 보내더라도 이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고주파(HF, UHF) RFID 기술: 일반적으로 도서관에서는 13.56MHz의 고주파(HF) RFID를 사용하여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습니다.
  • 특수 안테나 배치: RFID 리더기의 안테나가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책을 여러 겹으로 쌓아 놓아도 태그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습니다.

📌 도서관에서 새 책의 RFID 태그 등록 절차

보통 이렇게 RFID 태그 보호/은닉하는데 쓰이는 스티커도 붙여줍니다.

  1. 신규 도서 입고 확인: 도서관에 도착한 새 책의 목록을 확인하고, 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합니다.
  2. RFID 태그 부착: 각 도서의 표지 안쪽 또는 적절한 위치에 RFID 태그를 부착합니다.
  3. 도서 정보 입력: RFID 등록 프로그램과 사서용 리더기를 이용해 책의 고유 정보를 태그에 기록합니다. 이 과정에서 도서명, 저자, 바코드, 청구기호 등의 정보가 입력됩니다.
    사서용 리더기 예시
  4. 태그 인식 테스트: RFID 리더기로 태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5. 도서 배치: 등록이 완료된 도서를 서가에 배치하여 이용자들이 대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RFID 감지 게이트

도서관 입구에 있는 게이트도 RFID 기술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도서관 출입구에는 RFID 감지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게이트 역시 책에 붙어있는 RFID 태그를 인식해 대출되지 않은 책이 도서관 밖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사용자가 책을 정식으로 대출하면, RFID 태그의 상태가 "대출됨"으로 변경됩니다.
  • 대출되지 않은 책이 게이트를 통과하면 경고음이 울리며 반출이 차단됩니다.
  • 태그는 보통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무단 복제를 방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