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걷다호기심

[도로] 전봇대 검정 박스 - 광접속함체의 역할과 광케이블 통신 과정

치즈03 2025. 3. 5. 23:01

 

전봇대와 전봇대 사이 전선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사진과 같은 검정 박스가 3,4개 전봇대 간격으로 설치되어있는걸 볼 수 있다. 이건 도대체 무슨 장치인걸까? 바로 광접속함체(Optical Splice Closure, OSC)라고 불리는 광통신망 장치이다.

이번시간에는 이 광접속함체의 역할과 광케이블이 어떻게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1. 광접속함체의 역할 

① 광섬유 케이블의 연결(Splicing)

  • 광섬유 케이블은 내부에 매우 얇은 유리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끊어지면 단순히 꼬아서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
  • 광접속함체 내부에서는 융착접속(Fusion Splicing) 또는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 방식을 사용해 두 개의 광섬유를 연결합니다.
  • 연결된 광섬유는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신호 손실(Loss)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광신호의 분배(Splitting)

  • 하나의 광케이블을 여러 개로 나누는 역할도 합니다.
  • 이를 위해 광스플리터(Splitter, 분배기) 를 내장하여, 한 개의 광신호를 여러 경로로 보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는 하나의 광케이블을 여러 가정으로 나눠 공급할 때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③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섬유 보호

  • 광섬유는 매우 얇고 깨지기 쉬워, 습기, 먼지,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합니다.
  • 광접속함체는 밀폐형 구조로 설계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④ 유지보수 및 확장 용이

  • 유지보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광케이블 추가, 수정, 교체가 용이합니다.
  • 네트워크 확장 시 기존 망을 건드리지 않고도 새로운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출처: (주)씨에쓰정보기술_결합형 스마트함체

예를 들어, 광접속함체는 도시 CCTV 추가 설치 시 기존 광케이블에서 새로운 연결을 분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사진은 광접속함체를 추가하여 새로운 CCTV를 쉽게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광접속함체는 기존 망에서 신호를 분배하여 새로운 CCTV로 데이터를 전송해줘 기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추가적인 CCTV 연결이 간편해지고 유지보수도 쉬워진다. 즉, 많은 분기가 필요할수록 광접속함체는 필수적이다.

 

*이 과정은 광케이블 기반의 데이터를 사용자(집, 기업, 공공시설)까지 전달하는 전체 네트워크 과정 중 마지막 연결망인 액세스 네트워크 (Access Network) 파트의 내용이다.

 

1️⃣ 광케이블 → 광신호 데이터 (인터넷, 영상, 음성 등) 전송
2️⃣ 광접속함체 → 광케이블을 연결·분배, 주로 전봇대, 지하 맨홀 등에 설치됨
3️⃣ OFD → 광신호를 여러 네트워크 장비로 배분함. 광-전기 변환 모듈(SFP, Optical Transceiver)이 탑재되어있음.
4️⃣ 산업용 스위치광신호를 전기 신호(Ethernet)로 변환해 여러 네트워크 장비에 분배
5️⃣ 네트워크 장비(CCTV, AP, 서버 등) → 일반 랜선(UTP 케이블)으로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사용함.

🔍그렇다면 광케이블 데이터의 시작점은 어디부터일까?

3. 광케이블 데이터의 전체 네트워크 흐름

1️⃣ IDC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 생성

 

  • 구글, 네이버, 카카오, KT, SKB, LGU+ 같은 대형 IT 기업 및 통신사가 운영하는 서버 집약 시설.
  • 모든 인터넷 서비스(웹사이트, 영상 스트리밍, 게임,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데이터가 저장됨.
  • 데이터가 처음 서버에서 생성되어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됨.

2️⃣ 국가 및 글로벌 백본망을 통해 장거리 전송

  • 인터넷 데이터는 국가 단위의 광통신 백본망을 통해 이동.
  • 주요 통신사(KT, SKB, LGU+)의 초고속 광케이블 네트워크가 연결됨.
  • 대륙 간 데이터는 해저 광케이블(Undersea Fiber Cable) 을 통해 전달됨.

3️⃣ 지역 POP 및 중계국을 통해 각 도시로 배분

📍 POP (Point of Presence, 지역 인터넷 거점)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예: KT, SKB, LGU+)가 운영하는 지역별 네트워크 허브.
  • IDC에서 백본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POP에서 지역 단위로 배분됨.

📍 중계국 (Central Office, CO)

  • 지역 내 네트워크 신호를 관리하는 중계 시설.
  • 광케이블을 통해 각 도시 및 구역별로 데이터 전송.

4️⃣ 액세스 네트워크 (Access Network) → ⚡ '광접속함체'는 여기에 포함!

  • 중계국에서 나오는 광신호를 개별 사용자(가정, 기업, 공공시설)로 전달
  • 전봇대, 지하 맨홀, 광접속함체를 통해 광케이블 분배
  • OFD 및 산업용 스위치에서 네트워크 장비(AP, CCTV, 공유기)로 신호 전달

5️⃣ 사용자(End-User)

  • 가정, 빌딩, 기업, 공공시설(CCTV, 공공 와이파이 등)

 

 

즉, 우리가 사용하는 유튜브, 넷플릭스, 웹사이트, 게임 데이터는 IDC에서 시작하여 광케이블을 타고 전달되는 것이다! 🚀📡